경기도민 91%, 경제교육 필요성 공감
페이지 정보
KCEE 작성일25-04-25 09:18 조회3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013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71.5% '대출 등 의사결정' 희망
도, 실생활 경제교육 전략 마련
응답자 '체계적 교육 제공' 제안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경제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매매나 대출 같은 실생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원하며, 사회초년생 시기와 청소년기에 집중된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컸다. 경기도는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22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기도는 디지털 경제 전환과 금융사기 증가 등 변화하는 경제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경제교육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경기연구원은 이 일환으로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이날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 18~69세 경기도민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1.3%가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 이유로는 ▲주택매매, 대출 등 실생활 경제 의사결정(71.5%)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67.9%) ▲경제상황 변화 대응(61.3%) ▲경제·금융 피해 예방(52.1%) 등이 꼽혔다.
경제지식을 얻는 주요 경로는 디지털 채널이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57.4%), 방송매체(53.0%), 유튜브와 SNS 등 소셜미디어(48.7%) 순이었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사회초년생 시기(77.0%), 청소년기(70.8%), 대학생 시기(52.9%) 순으로,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교육이 집중돼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저소득층(82.6%)과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등 경제적 피해에 취약한 계층에 대한 교육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등 피해 경험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는 응답도 83.0%에 달했지만, 실제 이수율은 32.1%에 그쳐 교육 기회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응답자 중 41.7%는 '실생활 적용 가능한 경제 지식 함양'을 경제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꼽았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실생활 밀착형 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경기도 경제교육의 전략으로 제시했다.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생애주기별 교육 콘텐츠 구성, 경제교육 거버넌스 강화, 교육자료 표준화, 효과성 평가 도입 등의 과제도 함께 제안됐다.
한미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가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기엔 한계가 있다"며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효율적인 교육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우 기자 kimhw@incheon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